본문 바로가기
부동산_지식

주택매매 변동률 현황 (2023.03 ~ 2023.03)

by 월천 파이프라인 2025. 3. 16.

최근 몇 년간 대한민국의 주택 시장은 정책적 변화와 경제 환경, 글로벌 경기 흐름에 따라 민감한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특히 2023년 3월부터 2025년 3월까지의 주택매매 변동률은 매우 흥미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부동산원(REB) 자료를 기반으로 지역별 주택 매매 가격 변동 현황을 꼼꼼히 분석하고, 급등 원인에 대해 자체적으로 검증해 보았습니다.

 

(출처 : 한국부동산원, 2023.03~2025.03, 전국 상위 10개 주택매매 변동률)

 

1. 최근 2년 간 주택 시장 변동 현황 분석

위 표는 주택매매 변동률의 최근 2년 간의 현황을 기준 시점 대비, 전년 말 대비로 나누어 보여줍니다.

(1) 기준시점 대비 변동률 상위 10개 지역:

  • 서울 송파구: 16.84%
  • 경북 상주시: 16.84%
  • 경기 과천시: 16.11%
  • 서울 서초구: 13.02%
  • 서울 성동구: 12.93%
  • 서울 강남구: 12.18%
  • 경기 하남시: 11.52%
  • 경기 수원시 영통구: 10.82%
  • 서울 용산구: 10.52%
  • 경기 화성시: 10.38%

기준시점 대비 변동률을 보면 서울 송파구와 경북 상주시가 16.84%의 동일한 상승률로 가장 높은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전년 말 대비 변동률 상위 10개 지역:

  • 서울 송파구: 2.82%
  • 경북 문경시: 2.38%
  • 서울 강남구: 2.00%
  • 경기 과천시: 1.90%
  • 서울 서초구: 1.81%
  • 경북 상주시: 1.51%
  • 경북 영주시: 1.35%
  • 서울 용산구: 0.63%
  • 서울 성동구: 0.57%
  • 경기 용인 수지구: 0.56%

2. 주요 지역 상승 원인 분석 (출처 : 한국부동산원 시계열 통계표)

  1. 서울 송파구 집값 상승 서울 송파구는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가 추진되며 인프라와 교통망 개선 기대감이 부각되었습니다. 지하철 노선 확장 및 재건축 재개발 사업들이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수요자들의 관심이 몰리면서 높은 변동률을 기록했습니다.
  2. 경북 상주 부동산 급등 이유 경북 상주는 최근 관광산업 활성화 및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이 맞물리면서 전원주택 및 토지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교통 인프라 개선과 농촌생활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매매가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3. 경기 과천 매매시장 경기 과천은 신도시급 주거단지 개발이 진행 중이며 정부기관 이전 수혜 등 호재가 꾸준히 발표되면서 가격 상승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수요 증가로 인해 매매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기록 중입니다.
  4. 서울 서초구 아파트 상승세 서울 서초구는 강남권이라는 위치적 이점과 명문 학군의 존재, 그리고 지속적인 주거환경 개선으로 인해 꾸준한 수요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소득 전문직들의 선호도가 높습니다.
  5. 서울 강남구 부동산 시세 서울 강남구는 오랜 시간 안정적인 부동산 가치를 유지하며 한국 부동산 시장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습니다. 지속적인 고급 주거시설 개발과 국제적 위상이 높은 비즈니스 환경으로 인해 변동률이 꾸준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6. 경기 하남 주택가격 경기 하남은 신도시 개발과 함께 서울 접근성이 뛰어나 신혼부부와 젊은 층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신도시 조성과 교통편 개선이 꾸준한 주택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습니다.
  7. 경기 수원 영통 매매가 상승 수원 영통은 테크노밸리 확장과 광역교통망 구축 등으로 인해 생활편의성이 좋아지고 있어 실수요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업무지구 근접성과 직주근접 효과가 두드러집니다.
  8. 서울 용산 아파트 시장 용산구는 국제 업무지구 개발이 재추진되며 향후 대형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감으로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9. 서울 성동구 부동산 성동구는 교통 인프라가 우수하고 성수동을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아파트 단지가 많아 신흥 부촌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수요가 많아 매매가 상승률이 높습니다.
  10. 경기 용인 수지 지역 용인 수지구는 안정된 생활권과 우수한 학군을 바탕으로 실수요 중심의 매매시장이 형성되어 꾸준한 가격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11. 경북 상주 및 영주시 경북 상주 및 영주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지역으로 귀농귀촌 수요 증가와 더불어 관광자원을 활용한 지역 특화사업 등으로 인해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12. 경북 문경시 상승요인 경북 문경 지역은 귀촌, 귀농 인구의 증가 및 관광 개발 사업 확대로 부동산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2023년 3월부터 2025년 3월까지의 주택매매 변동률은 서울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나타났으며, 지방 도시 중 교통 및 지역 개발 호재가 있는 경북 상주와 문경 같은 지역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향후 주택매매시장에 접근할 때는 지역의 특성과 인프라 개발 계획 등을 꼼꼼히 살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