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농촌 지역의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한 '농촌빈집은행' 사업이 2025년 3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는 농촌 지역의 빈집 문제 해결과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해 ‘농촌빈집은행’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농촌빈집은행 사업이란?
농촌빈집은행 사업은 지자체가 지역 내 빈집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소유자의 동의를 얻은 매물을 민간 부동산 플랫폼과 귀농귀촌 플랫폼을 통해 거래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정책이다. 과거 철거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농촌 빈집을 민간 거래로 유도하여 빈집 문제 해결과 동시에 귀농귀촌을 촉진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주요 추진 배경
- 빈집 방치로 인한 환경·위생·안전 문제 지속적 발생
- 귀농귀촌 관심 증가로 농촌 빈집 활용 수요 증가
- 철거 위주 정책의 재정적 부담 및 빈집 활용의 필요성 대두
사업 추진 절차
- 지자체 빈집 실태조사 및 거래 가능 빈집 선정
- 빈집 소유자 거래 동의 확보
- 지역 내 공인중개사를 통해 빈집 매물 정보 등록 및 거래 활성화
- 민간 부동산 플랫폼과 귀농귀촌 플랫폼에 매물 정보 연계 및 공개
참여 지자체 및 기관
- 우선 참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전북 부안군, 충남 예산군
- 추가 참여 희망 지자체 모집기간: 2025년 3월 10일~3월 24일
- 관리기관: 부동산 관련 유관기관, 민간기업, 귀농귀촌 관련 기관 등이 신청 가능
- 신청 방법: 농식품부 농촌재생지원팀에 우편 또는 이메일 신청
관리기관의 역할
- 지자체와 업무협약 체결
- 공인중개사 모집, 선정 및 관리
- 빈집 정보 매칭 및 민간 플랫폼 등록 지원
- 개인정보 보호 준수를 통한 최소한의 정보 제공 및 관리
관련 플랫폼 및 정보 제공
매물화된 농촌 빈집 정보는 아래 플랫폼을 통해 도시민에게 제공되어 거래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 귀농귀촌 통합플랫폼 '그린대로'(www.greendaero.go.kr)
- 한국부동산원의 빈집정보 플랫폼 '빈집애(www.binzibe.kr)'
농촌빈집은행 사업 개요 (붙임자료 요약)
- 목적: 농촌 지역의 빈집 실태조사 및 정보 고도화를 통해 정확한 빈집 정보를 제공하고 빈집 거래를 활성화
- 사업비: 총 1,350백만원 (국비 50%, 지방비 50%)
- 실태조사: 800백만원(20시·군×80백만원)
- 거래 활성화: 550백만원(2,200호×50만원)
- 지원 형태: 지자체경상보조 (국비 50%, 지방비 50%)
- 시행주체: 각 지자체
관리기관 모집 공고문 요약 (붙임자료 요약)
- 신청 기간: 2025년 3월 10일 ~ 3월 24일
- 신청대상: 부동산 관련 유관기관·민간기업 및 귀농귀촌 관련 기관
- 활동 내용:
- 지자체와 업무협약 체결
- 지역협력 공인중개사의 모집, 선정 및 관리 지원
- 빈집 정보를 공인중개사와 연결하여 민간 플랫폼 등록 지원
- 공인중개사 활동비 지급 증빙자료 확인 지원
'부동산_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촌 빈집 활용 사례: 성공적인 리모델링 스토리 (0) | 2025.03.12 |
---|---|
귀농·귀촌을 위한 빈집 매물 정보와 주의사항 (0) | 2025.03.11 |
기존주택 전세임대주택 지원사업 요약 (0) | 2025.03.11 |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정보 (25년 6월 예정) (0) | 2025.03.10 |
분양전환 공공임대 및 공공분양 주택공급 정보 (0) | 2025.03.10 |